본문 영역
- 학부마당
- 교과목 소개
-
초급프랑스어 1Elementary French 1032.027
032.027 초급프랑스어 1Elementary French 1
본 교과목은 프랑스어를 처음 배우는 초심자를 위한 강좌이다. 프랑스어에 대한 사전 지식이 전혀 없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인 만큼 프랑스어 알파벳, 철자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하여 정확한 발음의 원칙을 숙지하도록 하고, 기본 어휘 및 기초적인 문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각 과의 본문은 주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실제 사용될 수 있는 평이한 문장들로 구성함으로써 기초적인 회화를 습득함과 동시에 기본적인 독해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더불어 본문에서 학습한 기본 어휘, 문법, 표현들을 응용한 간단한 작문을 연습함으로써 초급 수준에서 말하기, 읽기, 쓰기의 능력을 단계적으로 고루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강좌이다. 아울러 프랑스의 사회와 문화, 혹은 프랑스인들의 정신성을 엿볼 수 있는 방식으로 본문 텍스트를 구성함으로써 프랑스어를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프랑스의 생활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for beginners and no previous knowledge of French is assumed. Each class lays out clearly stated objectives. This course aims at the acquisition of basic vocabulary and structures required to develop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will start by learning French alphabet, accurate pronunciation, and basic grammar through short French sentences. Course materials will also include exercises of simple composition. Furthermore, students are to acquire a general idea of French culture and society
-
초급프랑스어 2Elementary French 2032.028
032.028 초급프랑스어 2Elementary French 2
본 교과목은 기초적인 프랑스어 지식을 지니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좌이다. <초급 프랑스어 1>을 수강한 학생이나, 고등학교 및 기타 과정에서 프랑스어의 기초 지식을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이다. 본 강좌는 <초급 프랑스어 1>의 연속선상에서 초급 수준의 프랑스어 문법을 완성하고, 이를 활용한 독해 및 작문 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실제 말하기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을 습득하도록 한다. <초급 프랑스어 1>의 본문이 일상적인 상황에 대화를 위주로 구성된 데 반해 <초급 프랑스어 2>의 본문은 프랑스어로 쓰인 각 분야 전공 문헌의 독해를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함양할 수 있도록 산문 텍스트를 일정 부분 활용하도록 한다. 이로써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생활 프랑스어 능력과 더불어 전공 문헌의 해독에 필요한 프랑스어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본 강좌의 목표이다. This course, designed for near-beginners or students who have already followed Beginning French 1 or who have learned French in high school or in other educational programs, aims at the acquisitions of more extensive vocabulary and structures, building on previously acquired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skills. While Beginning French 1 focuses on learning everyday conversation, Beginning French 2 sets out to focus on reading prose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read academic texts. Students are to improve their reading skills through literary works, logical writings and other texts written in French and to understand elementary French grammar. Also, acquiring various French expressions and cultivat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will be covered in this course.
-
중급프랑스어 1Intermediate French 1032.029
032.029 중급프랑스어 1Intermediate French 1
본 교과목은 초급 수준의 프랑스어 지식을 갖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이다. <초급 프랑스어 1, 2> 강좌를 이수한 학생, 고등학교 및 기타 과정에서 프랑스어 중급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이다. 본 강좌에서는 초급 강좌에서 습득한 기초 프랑스어 지식을 바탕으로 문장 구조 중심의 문법 지식, 문장 내에서 단어들의 상호 결합 관계나 쓰임새를 중심으로 한 문법 학습 등을 통해 보다 심화된 차원의 문법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 같은 문법 지식을 기본 구문 형태로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용례를 제시하여 프랑스어로 의사소통을 해야 할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문법, 작문, 말하기 능력을 동시에 함양하도록 한다. 또한 본 강좌에서 습득한 중급 수준의 문법을 토대로 프랑스 문학 텍스트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텍스트에 대한 독해를 병행함으로써 프랑스어 능력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for those who have already taken Elementary French 1 and 2 or are assumed to have prerequisite knowledge of French or who have learned French in high school or in other educational programs. The course has a core that focuses on mastering sentence structure-oriented grammar, syntax-oriented grammar based on their foundation knowledge of French along with fostering various usage of French. This intermediate course also revises and consolidates the knowledge of French students already have and teaches more advanced language by reading various texts, including literary works.
-
중급프랑스어 2Intermediate French 2032.030
032.030 중급프랑스어 2Intermediate French 2
본 교과목은 <초급프랑스어 1, 2> 교과목과 <중급프랑스어 1> 강좌를 이수한 학생 및 프랑스어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좌이다. 본 강좌는 <중급 프랑스어 1> 강좌에서 습득한 중급 수준의 문법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심화하여 프랑스 문학작품과 논설문 등을 독해하기 위한 고급 표현과 심화 문법 그리고 프랑스어의 다양하고 풍부한 표현법 등을 익힘으로써 중급 수준의 문법을 완성한다. 이를 통해 전문적인 분야의 프랑스어 텍스트의 이해를 도모하고 학습자의 견해를 프랑스어로 논리적이고 명료하며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프랑스 문학 텍스트를 비롯하여, 전문적인 논설문, 프랑스학 관련 자료 등 프랑스어 원전에서 엄선한 텍스트를 교육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프랑스어에 대한높은 수준의 지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for those who have already taken Elementary French 1, 2 and Intermediate French 1 or who hav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French. This course is aimed at the acquisition of advanced French grammar, various expressions and usage. This course will extend students’ language skills, enhance their knowledge of grammar and develop the skills needed to study at a higher level.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foster their skill of reading academic and professional texts and to express their own opinion properly and accurately. Students are to master their reading skills through literary works of various genres, logical writings and other texts written in French. By reading original texts carefully chosen, the course helps to enable students to improve their commands of grammar and vocabulary.
-
프랑스어 글쓰기French Composition032.031
032.031 프랑스어 글쓰기French Composition
기본적인 불어작문을 습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쉬운 불어문장을 직접 작문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불어문장의 구조와 어휘의 통사적 역할 등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함과 동시에 실제 불어 문장을 작문하고 이를 고쳐 주는 방식을 병행할 것이다. This course is for students with basic French writing skills. It will cultivate skills for writing simple sentences. A thorough study of the sentence structure and the syntactic roles of words will be undertaken along with writing exercises and corrections.
-
프랑스어 말하기French Conversation032.032
032.032 프랑스어 말하기French Conversation
본 과목은 보다 실용적인 강좌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사회환경과 변화하는 학생들의 욕구에 보조를 맞추어, 문법, 독해가 아닌 회화위주로 진행되는 수업이다. 불어불문학과 전용 어학 실습실에서 진행되는 위 과목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테이프, CD ROM 타이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프랑스어회화의 습득은 물론 언어를 통한 프랑스 사회 문화의 이해도 아울러 목표로 삼고 있다. Considering the changing social climate for more pragmatic studies, this course focuses its goals, not on grammar or reading, but on conversation. Taking place in the language lab of the French department, the class will not only place emphasis on conversational French but also the understanding of its culture and society through the language. Audio cassettes, video tapes as well as other various multimedia tools will be used.
-
032.033 시사 프랑스어Current French
<Le Monde>, <Le Point>의 사설, 한국 관계 기사 등을 주요 텍스트로 하여 세계에 대한 시사적인 관심과 현재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기르는데 주안점을 둔다. 강의는 주요 기사를 문법적 설명을 곁들여 강독하면서, 토론의 방식으로 진행한다. Using editorials and Korea-related articles from <Le Monde>, <Le Point> as well as other materials as main texts, this course will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the current world issues and critical views. The class will emphasize reading together with grammatical explanations and discussions on related issues.
-
인간복제와 문학Human Cloning and Literature041.030
041.030 인간복제와 문학Human Cloning and Literature
우리는 ‘인간 복제’의 시대에 살고 있다. ‘인간 복제’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급격히 진행되는 생물학적, 유전공학적 진보를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에 관한 이론적⋅상상적 지식체계, 즉 인문학의 관점에서는, ‘인간 복제’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나 최근의 현상이 아니라 적어도 데카르트 이후, 4세기 전부터 계속되어 온 일련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서구 문학은 ‘인간복제’(기계인간, 사이보그, 클론)라는 구체적인 문제와 동시에 ‘기계론적 인간관’이라는 본질적이고 추상적인 문제와 씨름해 왔다. 본 강의는 ‘인간 복제’와 ‘기계론적 인간관’이라는 두 주제에 대해 지난 4세기 동안 제기되어 온 긍정적 전망과 비판적 문제제기를 양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인문학적 문제를 복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사고하는 기회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또한, 한편으로는 복제인간, 다른 한편으로는 고급 영장류에 맞서 인간이 가진 고유성이 무엇인지 성찰함으로써 인간의 본성, 자연과 문화 사이의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시도한다.
본 강의는 문학적 연구 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철학과 인간학의 여러 분야를 접목시킨 학제적 강의를 지향한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주교재로 삼고, 그 문학 작품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를 가장 연관이 깊은 이론적 저작을 부교재로 삼으며, 주제의 현대적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해 최근 영화를 참고 자료로 사용한다. We live in the age of ‘Human Cloning’. With ‘Human Cloning’, we usually think of the progress of biology and genetic engineering proceeding drastically. However, from a perspective of humanities, theoretical⋅imaginary knowledge system on human nature, ‘Human Cloning’ is not a vision on future or a recent phenomenon, but a series of attempt since 4 centuries, at the latest from Descarte.
Western literature has made strenuous efforts for both the concrete issue of ‘Human Cloning’ and the essential and abstract issue of ‘mechanical view on Human beings’. This lecture aims at getting an opportunity to speculate the issue of humanities in a complex and fundamental way, grasping ambivalently, positive vision and critical issue-raising of the last 4 centuries concerning two themes, ‘Human Cloning’ and ‘mechanical view on Human beings’. Examining the notion of ‘Human Cloning’ and the specificity of Human beings distinct from the Primates, this lecture attempts fundamental understanding on the human nature and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is lecture intends an interdisciplinary lecture that combines diverse domains of philosophy and anthropology on the base of methodology of literary research. Hence, for main texts we adopt literary works, and for secondary texts theoretical works related to the themes of those literary works. And also, we refer to recent movies to lay out contemporary meaning of the themes. -
프랑스명작의 이해Understanding French Masterpieces041.031
041.031 프랑스명작의 이해Understanding French Masterpieces
프랑스 문학, 문화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프랑스 문학사상의 중요한 작가들, 혹은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프랑스 문학 및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강의는 작품 해설, 독서 과제 부여, 토론 등의 형식으로 진행한다. This course is open to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French literature and culture. It contrives an understanding of French literature and culture, focusing on its main authors and their works. The course is built up by commentaries on various works, home reading assignments and discussions.
-
상상력과 문화Imagination and Culture042.009
042.009 상상력과 문화 Imagination and Culture
이 강의는 이미지와 상상력이 생성되고 발휘되는 상상계의 특성을 소개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 강의는 상상력이 실질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문화 현상의 각종 예들을 공시태와 통시태의 축을 따라 동서양의 지리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소개함과 동시에,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어 인간학 대상 전반에 걸쳐 행해지는 분석을 통해 상상력의 기능과 작용 원리에 대한 이해 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그 연구방법론을 도출하고, 새로운 인식론을 모색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This course will primarily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inary world, a place for the creation and manifestation of images. It offers a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and working principles of imagination. In order to draw a methodology and a new epistemology of the imaginary world, an overview analysis of human studies beyond the boundaries of separate disciplines will be performed. This will aquaint the students with diverse examples of cultural phenomena in a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East and West, showing, diachronically as well as synchronically, the actual embodiments of the imagination.
-
프랑스어권 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of the Francophone Culture042.010
042.010 프랑스어권 문화의 이해Understanding of the Francophone Culture
프랑스 및 프랑스어권 제 국가의 사회, 문화적 문제점을 다룬 저작들을 텍스트로 하여 프랑스어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주제와 관련된 한국어 텍스트의 독서와 함께 진행되며 과제로 제시한다. 사회, 문화적 관심과 함께 프랑스어 학습도 겸하는 부수적 효과도 학생들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ourse we seek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Francophone society by reading French texts that deal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in France and other Francophone countries. Reading of related texts in Korean is given as homework assignment. Students can expect to rear their reading abilities in French as well as study issues in society and culture.
-
프랑스 문학으로 읽는 사랑Love in French Literature L0545.001100
L0545.001100 프랑스 문학으로 읽는 사랑Love in French Literature
프랑스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나는 사랑의 주제를 탐구해봄으로써 사랑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의 양상, 더 나아가서는 시대와 사회, 인간의 모습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은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는 작품들을 수업 텍스트로 활용하여 문학사적 흐름을 개괄하고, 수강생들에게 세부적인 작품 분석을 연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In this course, we will explore the theme of love in French literature and contemplate on different aspects of human nature, relationships, and society in relation to love. This course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French literature by using various texts from medieval to contemporary ages and will allow students to analyze literature i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