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역

- 대학원 마당
 - 석 · 박사 논문
 
- 
								
1957
- 박인희
 - Poésie en tant que Dialectique de l'Intellect et de la Réalité chez Paul Valéry
 
- 조홍식
 - 지이드 연구 ― 대랍되는 이원주의의 조화
 
 - 
								
1959
- 송재영
 - Molière 연구
 
- 유제식
 - Paul Valéry ― Pour le Dernier Mythe
 
 - 
								
1961
- 조청옥
 - La conversation de Charles Péguy
 
 - 
								
1963
- 김동현
 - Albert Camus의 소설의 인물 연구
 
- 오증자
 - Etude sur Racine d'Après Phèdre
 
- 최연상
 - Une étude sur Gérard de Nerval ― Poursuite d'une image énigmatique
 
 - 
								
1964
- 하동훈
 - La Métaphysique de la violence du voyant
 
- 홍승옥
 - La Passion de conqête et son évolution dans l'âme des personnages du théâtre de Claudel
 
 - 
								
1965
- 김기봉
 - Le Beau et l'Idée ― La poésie et la pensée de S. Mallarmé
 
- 김영윤
 - L'évolution de la concéption de la femme dans les oeuvres d'André Gide
 
- 이춘복
 - Les nourritures terrestres ou la recherche sensuelle d'André Gide
 
- 장정웅
 - Jeunesse et Formation de Jean Racine
 
 - 
								
1966
- 홍승호
 - Sens, Personnages et Conversation de la Condition Humaine
 
 - 
								
1967
- 김광남
 - Le Vomissement de Céline
 
- 김치수
 - Etude sur les personnages balzaciens
 
- 신재창
 - Le Retour du Petit Prince
 
 - 
								
1968
- 김근택
 - Etude sur Saint-Exupéry
 
 - 
								
1969
- 김화영
 - 발자크에서의 비판력 마비술
 
- 유평근
 - 보들레르에서의 빛과 어둠
 
- 최승언
 - 플로베르에서의 불의 영상
 
- 김성혜
 - 동물의 이미지를 통한 사르트르의 정신 세계
 
 - 
								
1970
- 최순목
 - 프루스트의 바다 비유 언어 연구
 
 - 
								
1971
- 이동렬
 - 『적과 흑』에 나타난 스땅달의 에고티즘 연구
 
- 진성자
 - Etude sur Flaubert ― la sensibilité à travers les objets
 
- 천옥란
 - 보봐리 부인』 재판과 반향을 통하여 고찰한 플로베르의 사실주의
 
 - 
								
1972
- 이진성
 - Camus와 Sartre의 Absurde 비교 연구
 
 - 
								
1973
- 김병일
 - Les Valets et les Servantes de Molière
 
- 김원일
 - Mauriac 작품 속의 삼요소 ― Dieu, Passion, Nature에 관한 연구
 
- 박영근
 - La Grand Meaulnes 에 있어서의 죽음의 의미
 
- 서정미
 - Proust의 빛
 
 - 
								
1974
- 윤영애
 - Les Fleurs du Mal 에 나타난 Jeanne Duval의 연구
 
- 전광수
 - Stendhal 작품 속의 <고도>의 이미지
 
- 정소성
 - La vie et le devenir dans les oeuvres de Saint-Exupéry
 
- 정태철
 - 까뮈의 작품을 통해서 본 죽음과 행복
 
 - 
								
1975
- 오생근
 - 엘뤼아르의 시를 통해 본 상호적 시선의 신비
 
- 임형숙
 - Nerval의 태양 Image
 
 - 
								
1976
- 소명희
 - 『보봐리 부인』에서의 물의 이미지
 
- 심민화
 - La Nausée에 있어서의 언어관의 변모
 
- 심영혜
 - Pascal에 있어서의 신앙의 방법론
 
- 최순자
 - 여주인공을 통해서 본 Molière의 투쟁성
 
 - 
								
1977
- 권영옥
 - La Chute 에 나타난 주인공의 언어의 유희
 
- 김형길
 - Pascal의 Pensées 에 나타난 설득 방법론
 
- 김지숙
 - 여주인공들의 성격의 특성을 통해 본 지로두의 희곡 작품 세계
 
- 노서경
 - Les Rêveries du Promeneur Solitaire
 
- 박정자
 - Sartre의 지식인관의 변모
 
- 최문희
 - François Mauriac의 작품 Thérèse Desqueyroux에 나타난 내면 독백의 성격 고찰
 
 - 
								
1978
- 강충권
 - Les Chemins de la liberté 에 있어서의 자유의 딜레마
 
- 배성욱
 - 습관의 개념을 통하여 고찰한 Pascal의 호교론
 
- 서정기
 - Nerval의 영혼의 여행
 
- 이건우
 - Lautréamont에 있어서의 공격성의 제양상
 
- 조광희
 - 사르트르의 미국관의 변모
 
 - 
								
1979
- 고혜영
 - 나탈리 싸로트 작품에 나타난 신경증
 
- 김영혜
 - Mauriac의 Le Baiser au lépreux 와 Thérèse Desqueyroux 의 여주인공의 비극상 연구
 
- 오시근
 - 『인간조건』의 영화적 장면구성
 
- 정영란
 - Bernanos의 Monsieur Ouine 에 나타난 Paysage의 상징성
 
 - 
								
1980
- 김경란
 - Mallarmé의 Igitur 에 나타난 시간의 변모
 
- 송기형
 - 『스완의 사랑』에 대한 문체론적 설명
 
- 이인성
 - 베케트의 존재인식과 연극 형태
 
- 정명교
 - 문학사 기술 방법에 관한 시론
 
- 조영철
 - Balzac - 제2의 눈과 현실 인식
 
 - 
								
1981
- 고인숙
 - Baudelaire에서의 rhétorique profonde
 
- 김흥년
 - 『지구 중심으로 여행』에서 <중심>이라는 신화적 주제 연구
 
- 성혜경
 - 공꾸르 형제의 작품에 나타난 명사적 표현 연구
 
- 손성만
 - Bachelard의 상상력 이론 연구
 
- 이봉지
 - 『인간조건』에 나타난 인간의 고립화
 
- 김혜란
 - 『Madame Bovary』에 나타난 자유 간접 화법
 
 - 
								
1982
- 김애련
 - 비극적 효과에 관한 정신분석적 시론 ― Racine의 비극 Iphigénie를 중심으로
 
- 동성식
 - Les Faux-Monnayeurs 의 구조 분석
 
- 이성복
 - Baudelaire에서의 현실과 신비
 
- 이 철
 - 독신주의자 Vautrin 연구
 
- 조한경
 - Jaques le fataliste, un grand tout romanesque
 
- 진경련
 - Madame Bovary 에 나타난 묘사 연구
 
- 진형준
 - 에밀 졸라의 L'Assomoir 와 La Curée 에 나타난 내면의 상징 연구
 
- 홍문수
 - Le Cycle de Thérèse Desqueyroux 에 나타난 비극성과 그 소설적 표현
 
 - 
								
1983
- 김연권
 - 정신분석학적 방법론으로 본 알베르 까뮈의 Jonas 연구
 
- 김 완
 - Alain-Fournier의 Le grand Meaulnes 에 나타나는 <집>의 이미지 연구
 
- 김윤진
 - Aurélia 에 나타난 Gérard de Nerval의 영적 모험
 
- 김종호
 - 불의 상징을 통한 말라르메 세계의 이해
 
- 박동찬
 - Francis Ponge의 Le Parti pris des choses 연구
 
- 박순정
 - Robbe-Grillet의 소설 Le Voyeur 에 나타난 시점과 서술기법
 
- 임진수
 - 생택쥐페리의 여성성 연구 ― 밤과 추억을 중심으로
 
- 임 헌
 - La métamorphose de la jeunesse ― Balzac의 Illustrations perdues 의 Lucien de Rubempré를 중심으로
 
- 조혜숙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고찰한 주인공 마르셀의 작가 수업 과정
 
- 조현실
 - Baudelaire에서의 꽃의 이미지 연구
 
- 홍은숙
 - 조르주 상드의 전원 소설을 통해서 본 인도주의적 이상과 결혼
 
 - 
								
1984
- 김경석
 - 『Combray』에 있어서 직설법 과거 연구
 
- 김동규
 - 네르발 작품에 나타난 <사랑의 최초 희열로의 회귀>
 
- 김정린
 - Etude sur la conception de l'image littéraire chez Bachelard
 
- 김진식
 - Séraphîta를 통해서 본 Balzac visionnaire의 한 측면
 
- 김희철
 - 시선분석을 통한 Racine 비극 연구
 
- 박무호
 - Corneille의 비극작품들 속에 나타난 <Grand intérêt d'Etat>
 
- 박세곤
 - 스탕달 소설 주인공의 고립화 과정 연구 ― 『적과 흑』/『뤼시엥 뢰벤』을 중심으로
 
- 심재상
 - Baudelaire의 작품에 나타난 상승과 하강
 
- 심재중
 - Paul Valéry의 상상적 하루
 
- 이상규
 - 샤또브리앙의 밤 ― 『아딸라』와 『르네』를 중심으로
 
- 이선영
 - Beaumarchais의 La Mariage de Figaro 연구
 
- 정재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수면의 세계
 
- 정헌교
 - Nerval의 Les Chimères에 나타난 신화 연구
 
- 최 민
 - 상징주의 시에 나타나는 보석의 이미지
 
- 최수철
 - La Modification에서의 변화의 진행 과정
 
- 최애리
 - 12 ~ 13세기 불소설 연구
 
- 하태환
 - 마르셀 프루스트의 암흑
 
- 황의조
 - Mallarmé의 시에 있어서의 <불확정>의 연구
 
 - 
								
1985
- 권오룡
 - Bakhtine 문학이론 연구 ― 라블레론과의 관련 하에서
 
- 김성택
 - L'Etude sur les mythes d'Icare et du Satyre dans La légende des siècles
 
- 김소연
 - Chateaubriand의 신에의 귀의
 
- 김용기
 - Etude sur la ville baudelairienne
 
- 윤종범
 - <유년기의 테마> 연구 ― A. Béguin과 G. Bachelard를 중심으로
 
- 이두영
 - <감옥-자유>의 순환적 주제를 통해 본 Thérèse Desqueyroux 의 내적 모험
 
- 이병애
 - 폴 발레리의 잠과 깨어남
 
- 이승엽
 - 보들레르 작품에 나타난 <눈> 이미지 연구
 
- 이양재
 - L'Etranger/La Peste/La Chute를 통해 본 Albert Camus의 이중성과 그 변모
 
- 이용철
 - Une recherche sur l'unité dans La Nouvelle Héloïse
 
- 이철의
 - 발자크의 현실관에 대한 시론
 
- 이희경
 - 『보바리 부인』에 나타난 플로베르의 세계관
 
- 임호경
 - André Gide의 작품에 나타난 진동 양상 연구
 
- 정순모
 - Genet의 작품에 나타난 동성애 연구
 
- 정종란
 - 까뮈의 '배교자 또는 혼미한 정신' ― 이야기의 기호학적 분석 연습
 
- 최홍숙
 - Gargantua 와 Pantagruel 에 나타난 라블레의 종교관
 
 - 
								
1986
- 김도훈
 - La dimension réflexive et critique dans Le Misanthrope
 
- 김헌태
 - 장쥬네의 『하녀들』에 나타난 현실과 공상의 역학관계
 
- 송지연
 - Camus의 L'Exil et le Royaume의 공간 구조 분석
 
- 용경식
 - 디드로의 소설 『수녀』에 대한 분석
 
- 임채광
 - 『따르뛰프』의 희극적 균형과 연극 형태
 
- 장진영
 - Clitandre 에 나타난 바로크적 특성
 
- 정재희
 - François Mauriac의 작품에 나타난 내적 갈등 연구
 
- 최봉임
 - 랭보에 나타난 <삶을 변화시키기> 주제에 관한 연구
 
- 홍명희
 - Etude sur le complexe de Jonas chez Bachelard
 
 - 
								
1987
- 김점석
 - Etude sur la mythologie de Gilbert Durand
 
- 김한식
 - Sous le soleil de Satan에 나타난 대결 양상 분석
 
- 문봉석
 - Lamartine, Musset, Nerval의 시에 있어서 사랑과 죽음의 주제에 대한 연구
 
- 박성창
 - Etude sur la critique de Baudelaire
 
- 윤 진
 - Analyse sur le moi poétique dans les Ariettes oubliées de Verlaine
 
- 이규현
 - Apollinaire의 시와 자기동일성의 드라마
 
- 이창용
 - Une étude sur les temps verbaux dans L'Education sentimentale
 
- 정희경
 - Flaubert의 L'Education Sentimentale 에 나타난 Métaphore 연구
 
- 최광락
 - Flaubert 문학의 내적 동기에 대한 한 연구 ― Style의 생성을 중심으로
 
- 황준성
 - Etude sur le thème de la Nudité chez Gide et Camus
 
 - 
								
1988
- 김은선
 - 한 청년 귀족상의 분석을 통해서 본 Racine의 사회묘사 연구
 
- 손재순
 - 현실 속의 삶의 한 방식 ― 스탕달의 소설 『루시앙 뢰벤』 연구
 
- 신은영
 - Phèdre 의 기호학적 분석 시론
 
- 유호식
 - M. Leiris의 L'Age d'homme 에 나타난 자서전 기술과 삶의 관계
 
- 이은진
 - La sagesse orientale dans les Mémoires d'Adrien
 
- 임미경
 - Etude sur le monument entre les deux axes opposés dans l'univers romanesque de Stendhal
 
- 조은미
 - Julien Gracq의 le Rivage des Syrthes에 나타난 인물과 공간의 의미연구
 
- 주 영
 - 고준주의 알렉상드렝에 관한 연구 ― 라신의 『앙드로마크』와 『페드르』의 작시법적 표현 효과에 대한 고찰
 
- 최애영
 - 말라르메의 시와 시론에 나타난 파괴와 창조의 변증법적 전위
 
- 최준교
 - Etude sur le texte barthésien
 
- 황경숙
 - Les Paysans에 나타난 사회적 관계 양상 연구
 
 - 
								
1989
- 강수환
 - Pascal의 Pensées 에 나타난 이성과 신앙의 관계
 
- 김갑수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성서/신화적 읽기
 
- 류진헌
 - 졸라의 『제르미날』에 나타난 산업화 시대의 특징
 
- 문경자
 - Confessions의 자기 해석적 성격
 
- 박셩덕
 - La Nouvelle Héloïse 에 나타난 자연인과 사회
 
- 이영목
 - 디드로 소설의 리얼리즘적 성격
 
- 이혜숙
 - Jacques le fataliste 의 소설형식에 대한 고찰
 
- 정연복
 - Le Misanthrophe 에 나타난 아이러니 연구
 
- 최권행
 - 몽테뉴의 신세계관과 유토피아
 
- 최효선
 - 엘뤼아르의 『직접적인 삶』에 대한 텍스트 형태 분석 연구
 
 - 
								
1990
- 김찬우
 - 말라르메 연구 ― 시언어 : 다의성과 형식성에 대하여
 
- 김효림
 - Apollinaire의 Alcools 에 나타난 죽음과 재생
 
- 장정애
 - 랭보의 시에 나타난 소외계층의 의미
 
- 주미사
 - Le Neveu de Rameau에 나타난 혼합 쟝르적 서술형태와 그 의미작용
 
- 최건원
 - 말라르메와 老-莊
 
- 한상희
 - Balzac의 La Peau de Chagrin 에 나타난 환상적 요소와 사실주의적 요소와의 관계
 
- 홍혜리나
 - 베니슈 연구 ― 작가의 지위史를 중심으로
 
 - 
								
1991
- 권수경
 - 나탈리 싸로트의 『천상의』에 나타난 내면적 현실의 재현 방식
 
- 김헌태
 - 장 쥬네의 극작품 연구
 
- 손경애
 - 발작의 『사촌 베트』에 나타난 부르조아 지배 사회 속의 여성
 
- 송진석
 - 쥘리앙 그라크 소설 연구
 
- 유봉진
 - La mise à mort 의 비극적 세계 연구
 
- 유정임
 - 뒤라스 소설에서의 기다림의 의미와 형태
 
- 이혜은
 - Pantagruel 에서의 Communication의 문제
 
- 최미경
 - Aspects de la technique du récit dans la naissance du jour
 
- 한정주
 - 『성배 이야기』의 주인공 Perceval의 변모 연구
 
- 한혜원
 - Bouvart et Pécuchet 연구
 
 - 
								
1992
- 고미라
 - Jean Genet의 『병풍들』에 나타난 갈등 구조와 사회적 연구
 
- 김예령
 - 셀린느의 비관적 세계 인식
 
- 김용현
 - 앙리 미쇼의 시에 나타난 육체의 의미
 
- 김이나
 - 아라공의 시에 나타난 거울과 시선의 이미지 연구
 
- 김태훈
 - 디드로 소설과 도덕의 문제
 
- 류미하
 - Etude sur la Renardie dans le roman de Renard
 
- 성기완
 - 피에르 르베르디의 시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공간 인식
 
- 안현주
 - 아라공의 La Semaine sainte 에 나타난 위기의 시대와 그 극복의 모색
 
- 오영주
 - 『감정교육』에 나타난 역사서술의 양상과 의미
 
- 이정기
 - 보마르셰의 『피가로의 결혼』연구
 
- 조정애
 - 의사소통의 양상을 통해서 본 Racine 극의 비극성
 
- 한정석
 - 프랑시스 퐁쥬의 사물인식 연구
 
 - 
								
1993
- 김민아
 - Yves Bonnefoy의 시를 통해서 본 <현존>의 글쓰기
 
- 김정환
 - Emma Bovary와 Frédéric Moreau에게 나타나는 권태와 꿈
 
- 선영아
 - 발자크의 Splendeurs et misères des courtisanes 에 나타난 암흑 소설의 수용에 관한 연구
 
- 이정하
 - Proust의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에 나타난 '나'의 여정
 
- 장효주
 - 『팡타그뤼엘』에 나타난 라블레의 인간관
 
- 정혜용
 -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에 나타난 <다시쓰기>의 양상과 의미
 
- 조민수
 - Racine의 Mithridate 에서의 비극성의 약화와 그 의미
 
 - 
								
1994
- 김남연
 - 베케트의 라디오 드라마 고찰
 
- 김태진
 - 보들레르의 산문집 Le Spleen de Paris 연구
 
- 손정훈
 - 『티보가의 사람들』에 나타나는 죽음의 의미
 
- 박신영
 - Le thème de la vie ― prison vs laliberté : la relation dialectique entre le clos et l'ouvert dans Génitrix
 
- 박진희
 - Duras의 Détruire, dit-elle 에 나타난 <파괴>의 양상과 의미
 
- 우상현
 - Pascal의 Pensées 에 나타난 비극적 이미지 연구
 
- 유치정
 - Alcools에 나타난 불안의 체험과 미학적 수용
 
- 지 현
 - Michel Butor의 Degrés에 나타난 <글쓰기>의 양상과 의미
 
 - 
								
1995
- 김보현
 - 몰리에르의 『동 쥬앙』연구
 
- 김진아
 - 폴 발레리의 시에 나타난 <자아> 연구
 
- 도윤정
 - 보들레르의 들라크르와론에 나타난 <화가-시인>의 의미
 
- 류광애
 - 자유의 인식과정으로서의 구토 읽기
 
- 오정민
 - Saint-John Perse와 운동의 시학
 
- 이은주
 - Robbe-Grillet의 La Jalousie 분석 ― 심리적 현실을 중심으로
 
- 정지용
 - 플로베르 문학관의 형성과정 연구
 
 - 
								
1996
- 김동수
 - 목가비판의 측면에서 본 Les paysans
 
- 노은옥
 - 네르발의 『오렐리아』에 나타난 통일성 추구
 
- 최대환
 - Robbe-Grillet의 La Jalousie 에서 드러나는 영화적 기법에 관한 연구
 
- 최영균
 - Blaise Cendrars의 초기시 연구
 
 - 
								
1997
- 김명숙
 - 줄리앙 그락의 La Presqu'île 에 나타난 <경계>의 의미와 글쓰기
 
- 장현주
 - 『피가로의 결혼』에 나타난 공간 구조 연구
 
- 전선형
 - Marguerite Duras의 L'Amante anglaise 에 관한 고찰
 
- 정현화
 - 『누벨 엘로이즈』와 『고백록』에 나타난 루소의 사랑
 
- 최욱경
 - Madame Bovary 의 시점 이동 양상과 미적 효과
 
- 한송이
 - 비단신 의 주변 인물들에 관한 연구
 
 - 
								
1998
- 박진형
 - 아라공의 소설 『바젤의 종들』에서 <새로운 인간>
 
 - 
								
1999
- 이혜은
 - 파뉘르즈의 변모에 나타난 라블레의 중세비판
 
- 정승훈
 - 사랑의 주체, 사랑의 텍스트 ― 후기 바르뜨의『사랑의 단상』을 중심으로
 
 - 
								
2000
- 최율리
 - 위고의 소설 『바다의 일꾼들』에 나타난 입문의 여정
 
- 전승화
 - 움직임으로 읽어본 베케트의 Molloy
 
- 김지현
 - 에밀 졸라의 Le Rêve에 관하여
 
- 정예영
 - 상드의 Indiana에 나타난 모성의 세계
 
- 박진숙
 - 로브-그리예의 시네로망 L'immortelle에 나타나는 시간과 시선의 문제 ― 영화 L'immortelle과의 비교 작업을 병행하여
 
 - 
								
2001
- 윤경희
 - 열정과 수난의 백과사전으로서의 『소돔의 120일』
 
- 허희정
 - 바로크 미학을 통해 읽는 스카롱의 『희극적 소설Le Roman comique』
 
 - 
								
2002
- 강위주
 - 「가르강튀아」: 대립의 논리와 텔렘의 주제
 
- 김정진
 - 시선의 감옥 - 『클레브 공 부인 La Princesse de Clève』 연구
 
- 문경훈
 - 죽음을 통해 본 라신의 비극
 
- 오은하
 - 시선의 관계를 통해 본 「자유의 길」의 여성인물 연구
 
- 이춘우
 - 프란시스 퐁쥬의 시에 나타난 사물의 내재성 연구
 
- 정영리
 - 라신 비극과 기독교
 
 - 
								
2003
- 이정화
 - Poésie en tant que Dialectique de l'Intellect et de la Réalité chez Paul Valéry
 
- 최 현
 - 롤랑 바르트의 『사드, 푸리에, 로욜라』에 나타난 글쓰기의 욕망과 텍스트성
 
 - 
								
2004
- 허지영
 - 『위험한 관계』에 나타난 리베르티나쥬와 이성의 문제
 
- 심하은
 - 샤를 페로의 『교훈을 덧붙인 옛인야기』연구-식인귀의 의미를 중심으로
 
- 강초롱
 -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본 시몬드 드 보부아르의 『얌전한 처녀의 회상』연구
 
 - 
								
2005
- 박상혁
 - 로맹 가리의『새벽의 약속La promesse de l'aube』에 나타난 현실의 어머니와 환상의 아버지
 
- 박상혁
 - '속임수'를 통한 사회화- 발자크의 『인생의 첫출발 Un début dans la vie』연구
 
- 유순영
 - 『아이들의 잡지』를 통해 본 보몽부인의 아동문학
 
- 한경진
 - 테오필 고티에의 환상 소설에 나타난 예술과 이상
 
 - 
								
2006
- 서지형
 - 뒤라스의 『롤 V. 스텡의 황홀』에 나타난 ‘히스테리’와 ‘희열’의 의미
 
 - 
								
2007
- 김영욱
 - 글쓰기 욕망과 세 편의 가족 소설
 
- 윤철기
 -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 퀘벡의 작가 잉 첸을 통해 본 이주와 문화 정체성
 
- 이현석
 - 마르슬린느 데보르드-발모르 : 상실에서 "향기"에 이르는 여정
 
 - 
								
2008
- 최정우
 - Poésie en tant que Dialectique de l'Intellect et de la Réalité chez Paul Valéry
 
- 서수영
 -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에 나타난 정체성 탐색 - 미로의 이미지와 순환적 구조를 중심으로
 
- 전미금
 - 『적과 흑』의 주인공 쥘리엥 소렐의 대타자 관계
 
- 오혜원
 - 지이드 연구 ― 대랍되는 이원주의의 조화
 
 - 
								
1957
- 박인희
 - Poésie en tant que Dialectique de l'Intellect et de la Réalité chez Paul Valéry
 
- 조홍식
 - 볼테르 글쓰기의 이중성 : 철학콩트 『솔직한 사나이L' ingénu』를 중심으로
 
 - 
								
2009
- 차지연
 - 조르주 바타이유의 '악의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 『에로티즘』, 『문학과 악』, 『하늘의 푸른빛』을 중심으로
 
- 박미현
 -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로베르토 쥬코』 분석 : 영웅에서 반영웅으로
 
 - 
								
2010
- 배형은
 - 『프랑시옹의 희극적 이야기』에 나타난 욕망과 자유의 변주
 
- 이정환
 - 에밀 졸라의 『돈』 그리고 '돈'의 이중성
 
- 이희영
 - 나탈리 사로트의 사이세계와 자유연구 - 『삶과 죽음 사이에서』를 중심으로
 
 - 
								
2011
- 윤민주
 - 피에르 클로소프스키의 『유예된 소명』 : '가면 쓰기'와 소명으로서의 글쓰기
 
- 이선오
 - 발자크 소설에 나타난 절대의 의미 - 『루이 랑베르』, 『알려지지 않은 걸작』, 『절대의 탐구』를 중심으로
 
- 이지원
 - 『거꾸로』의 실패한 칩거와 아이러니
 
- 한석현
 - 애도와 실재의 윤리 : 롤랑 바르트의 『애도일기』와 『밝은 방』
 
 - 
								
2012
- 길경선
 - 모호성과 문학의 모험 : 타하르 벤 젤룬의 『모래 아이』
 
- 문성욱
 - 뤼트뵈프 시에서 가난의 의미들
 
- 장영주
 - 폴 클로델의 『마리아에게 고함』에 나타난 욕망과 악
 
- 송흥진
 - 거울을 통해 본 보들레르의 작품세계
 
- 이주환
 - 셀린Céline의 『밤 끝으로의 여행Voyage au bout de la nuit』 연구 : 죽음의 언어와 주체성의 탐색
 
 - 
								
2013
- 최요환
 - 사전의 안과 밖, 볼테르의 『철학사전』
 
 - 
								
2014
- 김주원
 - 거짓말, 욕망에서 해석으로 -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2015
- 강서진
 - 발자크의 『골짜기의 백합』 연구 : 애도, 사랑의 서사
 
- 이진이
 - 중첩의 글쓰기 - 사무엘 베케트의 『몰로이』를 중심으로
 
 - 
								
2016
- 손지윤
 - 벨 에포크 시대 프랑스의 '신여성'의 이미지 형성 - 여성잡지 Femina를 중심으로
 
 - 
								
2017
- 오수환
 - 군주론의 관점에서 해석한 『에네아스 이야기』 : 전쟁과 사랑을 중심으로
 
 - 
								
2018
- 하정민
 - 앙리 보스코의 『이아생트』에 나타난 정체성 탐색과 ‘비어있음’
 
- 엄수아
 - 예술 애호가의 불가능한 미식: 『사촌 퐁스 Le Cousin Pons』 연구
 
 - 
								
2019
- 최보은
 - 경계를 넘나드는 시인-창조자: 몰리에르의 『앙피트리옹 Amphitryon』 연구
 
- 박수진
 - 여성의 억압양상과 일탈의 가능성 – 에밀 졸라의 『테레즈 라캥 Thérèse Raquin』
 
 - 
								
2020
- 유가빈
 - 현대적 비극의 시간 :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사막으로의 회귀』
 
- 황인지
 - 에밀 졸라의 『인간 짐승』에서 나타난 비이성적 인간: 고백을 중심으로
 
 - 
								
2021
- 심미현
 - 「스완의 사랑」에 그려진 실패한 예술가의 초상 - 스완의 환상과 진실 찾기 -
 
- 김초록
 - 해체와 창조의 정원 - 레몽 루셀의 『로쿠스 솔루스Locus Solus』를 중심으로
 
- 권현승
 - 죽음과 목소리를 통한 결속 - 파스칼 키냐르의 『신비한 결속』을 중심으로
 
 - 
								
2022
- 송채린
 - '있음'에서 '탈존'으로-실비 제르맹의 『분노의 날들』 연구
 
- 이나경
 - 몽테스키외 『페르시아인의 편지Lettres persanes』에 나타난 "원칙"의 탐구와 문학적 형상화
 
 - 
								
2023
- 이승연
 - 아니 에르노의 수치의 글쓰기 - 『단순한 열정』과 『탐닉』을 중심으로
 
 - 
								
2024
- 이민수
 - 연극이라는 사기 혹은 간계: 『푸르소냑 씨』와 몰리에르의 연극론
 
 - 
								
2025
- 조영웅
 - 이상적 아름다움: 『기독교의 정수』의 문학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