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school 
 불어불문학과 대학원 과정을 자세하게 소개합니다.

하위메뉴 영역

본문 영역

석 · 박사 논문

  • 문학 석사
  • 문학 박사
  • 어학 석사
  • 어학 박사
  • 1974

    이   환
    『빵세』에 나타난 빠스깔의 인간학
    정명환
    Les Rougon-Macquart에 나타난 애매성에 대한 연구
  • 1975

    원윤수
    Vie de Henry Brulard 연구
    홍승오
    Salavin 연구
  • 1984

    김해동
    『이방인』해석에 관한 비판적 고찰
  • 1987

    심민화
    라신느 비극의 사회적 의미와 기능에 대한 연구
  • 1988

    곽광자
    Corneille 비극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 Douvrovsky의 Corneille 연구를 중심으로
    박정자
    비현실의 미학으로의 회귀
    윤동진
    이오네스코 연극 작품의 공간 연구
  • 1989

    고혜영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와 『천일야화』
  • 1990

    이성복
    네르발 시의 역학적 이해
    이인성
    몰리에르 희극의 발전 과정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 『아내들의 학교』에서 『앙피트리옹』까지
    진형준
    질베르 뒤랑의 신화방법론 연구
  • 1991

    김경란
    말라르메, 공간의 시학과 시간의 시학
    김동규
    네르발 작품에 나타난 연금술적 상상
    김연권
    플로베르에 있어서의 에로스와 죽음
    전성자
    『보바리 부인』연구 ― 그 형태와 의미에 관하여
    조한경
    디드로 소설 연구 ― 서술기법과 현실 인식
    최홍숙
    라블레의 작품에 나타난 <세계와의 화해>
  • 1992

    최애리
    중세 그라알 소설 연구
  • 1993

    고인숙
    『악의 꽃』의 통일적 독서를 위한 시론
    김정린
    Albert Thibaudet의 문학비평 ― Mallarmé론을 중심으로
    박무호
    꼬르네이유의 후기 비극 연구
    정명교
    크레티엥 드 트르와 소설의 구성적 원리
    채기병
    말라르메의 부재와 <이데>의 시학
  • 1994

    김진식
    알베르 카뮈와 통일성의 미학
    박세곤
    스탕달 소설 주인공의 고립 연구
    심재상
    노장적 시각에서 본 보들레르의 시세계
    이규현
    기욤 아폴리네르의 상상 세계 연구
    이은주
    디드로 소설의 아이로니 연구
    임진수
    정신분석 비평에 관한 한 연구 ― 「도둑맞은 편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정희경
    마르그리뜨 뒤라스 소설의 은유적 표현에 관한 연구
  • 1995

    김윤진
    불문학 텍스트의 한국어 번역에 관한 연구
    김애련
    라신느 종교 비극에 나타난 파스카 ― 등장인물과 공간을 중심으로
    김윤진
    불문학 텍스트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연구
    손재순
    스탕달의 행복 ―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와 『파르므의 수도원』을 중심으로
    심재중
    르네 샤르, 역설의 시학
    이용철
    루소의 글쓰기에 나타난 상상적 자아
    이해방
    세갈렌의 문학 사상 연구
    최수철
    인식의 도구로서의 미셸 뷔토르 소설에 대한 연구
  • 1996

    김용기
    디드로 계몽사상에서의 도덕의 문제 연구
    김점석
    <탈출>과 <귀환>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 쥘리엥 그린의 초기 소설 연구
    장진영
    바로크 주제에 의한 코르네이유 초기 희극 연구
  • 1997

    권오룡
    디드로 문학의 모랄과 과학
    이병애
    프랑스 산문시의 한 행로
    임미경
    스땅달의 글쓰기와 자기 탐구 ― 『앙리 브륄라르의 생애』와 『파르므의 수도원』에 대한 연구
  • 1998

    김소연
    샤토브리앙의 『순교자들』에 나타난 인물과 풍경묘사의 의미
    문경자
    루소의 자서전 글쓰기와 진실의 문제
    이혜숙
    디드로의 소설에 나타난 동일화와 거리두기의 문제
    장정애
    Nelligan의 시에 나타난 죽음과 초월적 존재의 의미
    정연복
    몰리에르 <발레-희극>에 관한 연구
  • 1999

    주미사
    디드로와 유토피아 ― 성의 주제를 중심으로
    이혜은
    파뉘르즈의 변모에 나타난 라블레의 중세 비판
  • 2000

    진경년
    『감정교육』의 구조와 의미 ― 실패의 주제를 중심으로
  • 2001

    이철의
    발자크 소설 세계의 변모의 의미
    빅아르마
    투르니에 작품의 사실적 글쓰기와 신화의 생성
    이선영
    장 지오노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지상의 행복
  • 2002

    김진하
    폴 발레리의 정신(esprit)의 시학 연구
  • 2003

    한정주
    스탕달 소설 주인공의 자아 -인식에서 감각으로
  • 2004

    동성식
    지드의 소설과 성경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박진희
    지오노의 『연대기Chronoques』, 권태와 욕망의 소설적 형식
  • 2005

    전선형
    뒤라스의 인도 연작에 나타난 '텍스트 상관성' 연구
    김명숙
    조르쥬 페렉의 새로운 자서전 글쓰기
  • 2010

    고혜선
    빌리에 드 릴아당의 환상문학과 현실의식
    유치정
    블랑쇼의 문학과 새로운 글쓰기의 의미
  • 2011

    이도경
    자기성찰에서 보편성으로 : 유르스나르의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 『흑의 작업』, 『암흑의 남자』를 중심으로
    김동수
    발자크의 소설에 나타난 사회적 실천과 인간학
  • 2018

    서지형
    모리스 블랑쇼와 탈주체의 글쓰기 - ‘목소리’와 ‘불안’을 중심으로
  • 2019

    허지영
    퐁트넬의 무한과 상상력: 『세계의 다수성에 관한 대화』를 중심으로